향토관광정보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앱 모형A Mobile Application Model for Local and Tour Information Services
- Other Titles
- A Mobile Application Model for Local and Tour Information Services
- Authors
- 이용정; 이다정; 이창호; 윤소현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정보관리학회
- Keywords
- 향토정보서비스; 특화서비스; 관광정보; 컬처패스; 도서관 마케팅;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local information services; specialized services; tour information; culture pass; library marketing; mobile application
- Citation
- 정보관리학회지, v.36, no.1, pp 247 - 267
- Pages
- 2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정보관리학회지
- Volume
- 36
- Number
- 1
- Start Page
- 247
- End Page
- 267
- URI
- https://scholarx.skku.edu/handle/2021.sw.skku/11955
- ISSN
- 1013-0799
- Abstract
-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향토정보서비스는 낮은 이용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부분 열람 및 대출형태의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용자의 정보 요구를 반영하는 새로운 향토정보서비스를 제안하고자,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이하 앱)인 LibPass (Library와 Pass의 합성어)를 개발하였다. LibPass는 향토자원의 특성들이 LibPass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이용자가 모바일 앱을 통해 지역의 문화관광자원에 대한 정보탐색을 한 곳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즉, 관광자원에 대한 소개는 물론이고, 그 이용을 위한 숙박시설, 체험프로그램, 그리고 특화도서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토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정보서비스를 도모하고자 했다. 무엇보다도 이 서비스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카드로 일원화되어 제공되므로 전국 어디서나 사용이 편리하고, 공공기관의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신뢰성과 최신성을 확보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바일 관광정보서비스의 품질 평가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관광정보서비스 앱을 분석하여 LibPass 앱의 개체들을 구성하고 논리적 개체 관계 모델을 기반으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도서관의 향토정보서비스 이용률을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 이용자 친화적인 앱을 통해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mputing and Informatics > Convergenc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