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한 지식검색 커뮤니티 정보탐색행태Adolescent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for Gender Identity in a Community-driven Knowledge Site
- Other Titles
- Adolescents’ Information-seeking Behavior for Gender Identity in a Community-driven Knowledge Site
- Authors
- 이다정; 이용정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정보관리학회
- Keywords
- community-driven knowledge site; social Q&A; sexual identity; gender identity;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sexual health information; information quality evaluation; 지식검색커뮤니티; 소셜 Q&A; 성정체성; 건강정보탐색행태; 성 건강정보; 정보 품질 평가
- Citation
- 정보관리학회지, v.36, no.4, pp 161 - 181
- Pages
- 21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정보관리학회지
- Volume
- 36
- Number
- 4
- Start Page
- 161
- End Page
- 181
- URI
- https://scholarx.skku.edu/handle/2021.sw.skku/12137
- ISSN
- 1013-0799
- Abstract
- 사람들은 청소년기에 성적 지향이나 성 정체성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며, 청소년들은 성에 관한 민감한 건강정보 탐색을 위해 접근이 편하고 익명성이 보장된 지식검색 커뮤니티를 자주 이용한다. 본 연구는 지식검색 커뮤니티에 나타난 청소년들의 성 정체성에 관련된 질문과 답변을 바탕으로 그들의 정보탐색 행태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들의 정보 요구를 파악하고 그들이 공유한 질문에 제공된 답변들 가운데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의 특성을 비교하여 청소년들이 어떠한 답변을 선호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대표적인 지식검색 커뮤니티인 네이버 지식iN에서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3년간 채택된 답변과 비 채택된 답변으로 구성된 총 358세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 정체성에 관한 고민을 가진 청소년들은 성 정체성에 대한 정의나 혼란에 관한 정보 요구가 많았다. 이용자들이 채택한 답변에는 공감 및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요인들이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 비해 많았으며, 반면에 채택되지 않은 답변에는 부정적인 요인들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들이 가진 정보 요구와 정보탐색 행태를 분석하여 정보탐색 분야의 논의를 확장하고 건강정보 이용자의 정보 평가에 이용되는 인지적 및 감정적 모델을 검증했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 미디어가 청소년에게 제공해야 할 성 정체성에 관한 효과적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실질적인 함의를 제안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mputing and Informatics > Convergence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