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실패요인 분석을 통한 창업기업 문제 해결 연구A Study on the Problem Solving of Start-up Companies by Analyzing the Factors of Its Failure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Problem Solving of Start-up Companies by Analyzing the Factors of Its Failure
- Authors
- 송영민[송영민]; 김경환[김경환]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창업학회
- Keywords
- 창업 실패요인; 창업기업 문제점; 창업활동; 창업 활성화; 기술창업; Start-up failure; Factors and problems of start-up failure; Start-up activities; Revitalization of start-ups; technology start-ups
- Citation
- 한국창업학회지, v.14, no.3, pp.94 - 12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창업학회지
- Volume
- 14
- Number
- 3
- Start Page
- 94
- End Page
- 120
- URI
- https://scholarx.skku.edu/handle/2021.sw.skku/12148
- ISSN
- 2092-8068
- Abstract
- 본 연구는 창업 실패요인에 대한 기존 문헌연구를 통하여 창업기업 문제점에 대하여 6개 주요인과 26개 하위 세부요인을 선정하고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각 요인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 그리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창업활동의 문제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인의 순위는 ➀ 창업가특성, ➁ 경영관리, ➂ 외부환경, ➃ 창업전략, ➄ 보유기술, ➅ 자원확보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양호하게 나타난 하위 세부요인의 순위 5가지를 살펴보면, 해당 분야의 경험과 지식(1위), 창업에 대한 의지와 열정 및 추진력(2위), 내부 구성원 간 협력 및 관계 형성(3위), 문제점 인지 및 해결능력(4위), 합리적인 의사결정(5위)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장 미흡하게 나타난 하위 세부요인의 순위 5가지를 살펴보면, 자기자본금 비중(26위), 사업화에 필요한 인력(25위), 부족한 자원을 조달할 수 있는 협력체계 구축(24위), 경쟁사가 모방하기 어려운 독창성과 차별성 있는 기술(23위), 자금 조달 계획과 능력(22위)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활동 변수 간의 연관성을 검정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주요인 모두 상호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창업기업 당면 문제점의 주요인 및 하위 세부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산출하여 창업활동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시했다. 기존 연구는 창업 실패와 성공의 원인을 분석하는 정성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본 연구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실패에 관한 정량적 연구를 수행했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창업기업의 창업활동 문제점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하여 예비 창업자와 창업정책 입안자에게 창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사전 대비를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OTHERS > ETC > 1. Journal Articles
- Start-up Support Center > ETC > 1.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