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어 수업 대화의 화행 분석과 화행 자동분류를 위한 언어학적 기반연구A Linguistic Study of Speech Act and Automatic Speech Act Classification for Korean Tutorial Dialog

Other Titles
A Linguistic Study of Speech Act and Automatic Speech Act Classification for Korean Tutorial Dialog
Authors
구영은김지연홍문표김영길
Issue Date
2018
Publisher
한국정보과학회
Keywords
Speech act; Automatic speech act classification; Linguistic feature; Machine learning; 화행; 화행 자동분류; 화행 분류 자질; 기계학습
Citation
정보과학회논문지, v.45, no.8, pp 807 - 815
Pages
9
Indexed
KCI
Journal Title
정보과학회논문지
Volume
45
Number
8
Start Page
807
End Page
815
URI
https://scholarx.skku.edu/handle/2021.sw.skku/21705
ISSN
2383-630X
Abstract
화행이란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화자가 가지는 발화 의도를 말한다.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발화자의 화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대화체 문장의 화행 자동분류를 위해, 화행을 결정짓는 요인이 무엇인지 언어학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수업 대화를 분석하여 화행 분류 체계를 자체 정립하였고, 언어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13개의 화행 분류 자질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화행 분류 자질을 검증하고자 웨카(Weka)를 이용하여 정확률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다양한 언어학적 자질을 이용하여 발화의 화행을 자동분류한 경우 70.03%의 정확률을 보였다. 이는 유니그램과 바이그램만으로 화행을 자동분류한 베이스라인에 비해 약 30%p의 정확률이 향상된 결과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Liberal Arts >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Computing and Informatics > Convergenc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MUN PYO photo

HONG, MUN PYO
Loberal Arts (German Language and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