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 요인 연구: 다문화 예비학교를 중심으로A Case Study on Elements of Immigrant Youths' Adjustment Based on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s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Elements of Immigrant Youths' Adjustment Based on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s
Authors
권보근[권보근]장인실[장인실]
Issue Date
2017
Publisher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Keywords
immigrant youths;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school adjustment; 중도입국 청소년; 다문화 예비학교; 학교적응
Citati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17, no.22, pp.51 - 73
Indexed
KCI
Journal Tit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ume
17
Number
22
Start Page
51
End Page
73
URI
https://scholarx.skku.edu/handle/2021.sw.skku/31298
DOI
10.22251/jlcci.2017.17.22.51
ISSN
1598-2106
Abstract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초기 적응 교육 기관인 다문화 예비학교에서의 적응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문화 예비학교 학생 15명, 예비학교 교사, 학부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관찰, 심층 면담, 문서 분석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개별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하여 학교 적응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문화 예비학교에서는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정규 학교로 복귀하기 전에 충격을 완충하는 곳으로 학교생활 및 학습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한국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뿐 만 아니라 본국과 한국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생활적응과 학습 적응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의 차이나 학교 규칙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도 느끼고 있었다.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 형성도 학생의 일상생활 및 학업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학교 적응하는 데에 필요한 중요 요인은 의사소통, 생활적응과 학습적응, 관계형성 요인임이 밝혀졌다. 앞으로 더욱 증가하게 될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초기적응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맞춤형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ungkyun Language Institute > Sungkyun Language Institut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