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부정소 호응 부사의 통사․의미론적 특성 - 한국어 교재의 ‘별로’, ‘전혀’를 중심으로 -A Study on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 about Adverbs of Co - occurrence with Negative Particle - Focused on ‘Byeol - lo’, ‘Jeon - hyeo’ of Korean Language Textbook -

Other Titles
A Study on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 about Adverbs of Co - occurrence with Negative Particle - Focused on ‘Byeol - lo’, ‘Jeon - hyeo’ of Korean Language Textbook -
Authors
김경애[김경애]
Issue Date
2016
Publisher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Keywords
부정소 호응; 부사; 별로; 전혀; 통사 구조; 의미 특성; 계열 관계; 결합 관계; 한국어 교재; co-occurrence with negative particle; adverb; byeol-lo; jeon-hyeo; syntactic; semantic; Korean language textbook
Citation
인문연구, no.77, pp.55 - 90
Indexed
KCI
Journal Title
인문연구
Number
77
Start Page
55
End Page
90
URI
https://scholarx.skku.edu/handle/2021.sw.skku/39266
ISSN
1598-2211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부정소와 호응하는 부사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어 초급 교재에 쓰인 ‘별로’, ‘전혀’는 부정소와 호응하는 부사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어휘이다. 이에 각각의 부사가 쓰인 예문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를 전개한다. 첫째, 이 부사들이 결합된 한국어 초급 교재 예문의 통사 구조를 살펴본다. 문법 요소는 부정 표현을 주된 것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문장 종결과 시간 표현 등을 다룬다. 이를 통해 각 부사별로 요구되거나 제약되는 통사적 특성을 알아본다. 둘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부사의 의미 특성을 살펴본다. 이때는 실제 발화에서 있음직한 문장 또한 상정하여 함께 다룬다. 이처럼 각 부사별로 쓰이는 맥락에서 나타나는 결합 관계와 계열 관계를 살펴보면서 두 부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그 결과, 두 부사의 차이는 이렇다. 먼저 ‘별로’는 ‘별로+이다’ 구성의 예문이 나타나나, ‘전혀’는 그렇지 않다. 또 ‘전혀’는 ‘전부 부정’인데 반해, ‘별로’는 ‘정도, 기호, 빈도, 능력’과 관련한 ‘일부 부정’이다. 마지막으로, ‘전혀’는 행동 수행이 요구되는 맥락에서는 계열 관계의 부사인 ‘절대’가 주로 쓰인다. 반면 ‘별로’는 행동 수행이 요구되는 발화를 상정하기 어렵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Sungkyun Language Institute > Sungkyun Language Institut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